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주식
- 급등주
- 코딩테스트
- 이진우
- 알고리즘
- 주식 분석
- 손에 잡히는 경제
- 손경제
- 경제뉴스
- Python
- 상한가 분석
- 급등주 분석
- java
- 상한가 이유
- 자바
- boj
- 테마주
- 프로그래머스
- 급등 이유
- 코테
- 주식 상한가
- 손에 잡히는 경제 요약
- Programmers
- 상한가
-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
- 파이썬
- 경제뉴스 요약
- 백준
- 손경제 요약
- 경제
- Today
- Total
Completion over Perfection
[1/24]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요약 본문
[1/24]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요약
"인텔의 파운드리 진출, TSMC/삼성 양강구도 흔들까?"
- 24조원 대규모 투자를 통해 공장 건설
- 파운드리란 반도체 생산만 해주는 기업 (삼성전자/SK하이닉스는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두 하는 기업)
- 인텔은 최초에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처럼 종합 반도체 기업으로 시작을 했으나 2018년에 파운드리 사업에서 손을 뗀 상황 (설계만 진행)
- 이미 우량한 기업들과 파운드리 계약을 해놓고 24조원을 투자한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중
- 이렇게 갑자기 인텔이 파운드리 사업에 진출을 하는 이유는 코로나로 인해 생산 자체가 부족해지면서 파운드리 업체가 공급업체를 골라서 받는 상황을 타개하고자 진행하는 것으로 해석됨
- 또한 미국 정부가 중국과 싸우면서 반도체 사업에 대한 투자를 늘려나가고 있는데 파운드리 1위업체인 대만의 TSMC, 2위업체는 삼성전자가 모두 중국옆에 위치
- 이러한 상황에 맞춰 인텔이 미국정부의 지원을 받아 반도체 사업을 키워나가려는 것으로 보임
"다양해지는 신용등급 매기는 방식, 대안신용평가 모델 사례들"
- 현재 신용등급 판단은 과거의 연체 기록이 있는지, 신용카드를 쓰고 잘 갚았는지, 통신요금을 잘 내는지 등으로 판단
- 하지만 대학생들, 가정 주부, 사회초년생들은 이러한 기록들이 없기 때문에 신용평가가 어려움
- 이에 대한 대안으로 대한신용평가모델 또는 대한 신용평가 서비스
- 은행 계좌에 자동이체로 설정된 카드 보험 통신 가스 등 각종 생활요금 납부 내역을 확인하여 판단하겠다는 취지
- 지난주 금요일부터 한 저축은행이 이 모델을 활용하여 신용평가 진행 중
- 카카오뱅크의 경우, 자사의 선물하기 서비스를 통해 선물을 자주하는 사람은 그만큼 경제적 여유가 있는 것으로 보아 신용등급을 평가할 때 하나의 요인으로 판단하겠다는 내용
- 해외 미국의 핀테크 업체는 돈빌리는 사람의 문자 메세지에 띄어쓰기, 맞춤법 등을 확인하여 신용평가에 활용 중
- 중국 신용평가사의 경우, sns를 확인하여 친구가 몇명이 있는지, 통화를 얼마나 자주 하는지 등을 확인한다고 함
- 자영업자의 경우에는 위성 사진을 활용하여 해당 사업지역의 유동인구를 체크
"소액이라 세금 안 내도 된다? 소액부징수 악용 사례 많아졌다"
- 배달은 크게 2가지 종류가 존재 (①배달플랫폼과 계약 후 콜 배정, ②인근 배달업체에 음식점 사장님이 요청)
- 어떤 방식이든 소비자가 음식값을 지불해서 그 안에 배달료가 포함되면, 배달 대행업체가 수수료 떼고 세금 3.3%(소득세) 떼고 나머지를 배달 기사한테 지급
- 일부 배달업체에서 배달기사 확보 경쟁때문에 3.3% 소득세를 떼지 않고 지급한 경우가 있어 논란이 되는 중
- 이는 불법이 아닌 소액부징수(세금이 적으면 면제해 주는 제도, 세금이 1천원 미만이면 내지 않아도 된다는 법)라는 제도를 악용한 사례
- 예시로 5만원까지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고, 5만원이 넘으면 세금은 본인부담이라 광고하는 사은품 등이 있음
- 일용근로소득을 매일 지급하지 않고 일정 기간 단위로 끊어서 일괄 지급하는 경우에는 건건히 보지 말고 일괄 지급하는 시점에서의 금액을 기준으로 소득세를 납부해야함
- 하지만 편법으로 건건히 쪼개서 지급을 한다거나 하루 단위로 지급하는 등의 방법을 쓰게 되면 법을 어기는 부분은 아닌 게 돼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/26]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요약 (0) | 2022.01.26 |
---|---|
[1/25]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요약 (0) | 2022.01.25 |
[1/21]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요약 (0) | 2022.01.21 |
[1/20]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요약 (0) | 2022.01.20 |
[1/19]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요약 (0) | 2022.01.19 |